Open Access System for Information Sharing

Login Library

 

Conference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사회기술적 상상으로서 휴대전화기술의 발달: 일본 갈라파고스 케이타이 사례를 중심으로

Title
사회기술적 상상으로서 휴대전화기술의 발달: 일본 갈라파고스 케이타이 사례를 중심으로
Authors
KIM, KIHEUNGKim, Jongmi
Date Issued
2019-05-24
Publisher
포스텍 공론과 소통연구소
Abstract
과학기술과 사회변동은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다. 특히 급속한 사회변동과 과학기술의 상호작용은 과학기술학과 사회학자들에게는 흥미로운 주제 중에 하나이다. 과학기술의 변화와 혁신이 사회변동을 촉진하며 때로는 사회문화적 변동이 과학기술의 수용과 혁신을 추동하기도 한다. 본 논문은 2000~2010년대 사이에 나타난 핸드폰 기술의 변화와 혁신 그리고 수용과 거부의 문제를 다룰 것이다. 특히 1990년대 초반부터 발생했던 일본의 끝나지 않을 것 같던 경제적 호황이 극적으로 붕괴하면서 20년에 걸친 장기간의 불황기간에 나타나는 기술혁신과 관련된 문제를 다룬다. 일본 장기불황기 (헤이세이 불황, 平成不況)에 일본사회는 다양한 측면에서 세계화 (globalization)의 흐름에 역행하는 경향과 함께 독특한 사회경제적 생태계를 구축한다. 이러한 흐름을 “갈라파고스 신드롬 (Galapagos syndrome)”이라 지칭하며 대표적인 사례가 일본사회에서 아이폰과 같은 스마트폰에 대한 거부와 기존 형태의 폴더폰 사용을 유지하는 움직임이다. 당시 일본의 핸드폰 사용자들은 전형적인 스마트폰의 형태의 핸드폰 대신에 폴더폰을 지속적으로 사용한다. 이러한 전통적인 폴더폰 형태의 핸드폰을 일본에서는 “갈라파고스 케이타이 (약자로 가라케 ガラケー) 케이타이는 휴대전화를 일컫는 일본어인 ‘케이타이덴와 (携帯電話)’의 줄임말이다. 여기에서 스마트폰과 폴더폰 (또는 가라케)를 구분하는 기준은 단순히 형태적 분류 (morphological classification)에 근거한 구분법은 아니다. 가라케는 그 형태상 오래된 폴더폰과 유사하지만 그 기능에 있어서는 스마트폰이 가지고 있는 대부분의 기능을 적재하고 있다. 이런 의미에서 기능상 가라케와 스마트폰은 큰 차이가 없다. ”라고 부른다. 이 기술의 사용은 대중문화에서 다양한 형태로 재현 (represent)된다. 대중문화에 나타나는 핸드폰은 당시 일본 사회가 이 기술적 산물 (technological artifact)를 통해 사람들이 상상하는 이상적인 미래를 투사한다. 이러한 상상은 곧 사회·규범적 질서 (social and normative order)와 긴밀하게 연관된다. 이 논문은 기술과 대중이 소비하는 드라마와 영화의 사회문화적 요소들 사이의 상호작용을 분석할 것이다. 그리고 희망이나 욕망, 비전이나 꿈과 같은 사회적이고 집합적인 상상 (collective imaginaries)이 핸드폰 기술시스템의 구성과정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논의할 것이다. 이 논문은 갈라파고스 신드롬과 관련하여 왜 일본사회는 글로벌 트렌드로서 균일적인 기술발전과정에서 분리되어 자체적인 기술적 혁신의 경로를 선택하게 되었는가를 논의할 것이다 극적인 전환기인 헤이세이 불황기간 동안 갈라파고스적 경로를 선택한 이유는 경제적인 불황과 관련된 상황 때문일 수 있지만, 대중문화의 문화적 실천과 결합되어 있는 기술의 사회문화적 상상력이 새로운 삶의 형태를 형성하는데 변화의 추동력으로 작동한다. 두 번째, 특정그룹의 행위자들이 기술을 통해 사회문화적 상상력을 구성하고 이러한 테크노사이언스의 측면이 대중문화, 특히 드라마와 영화에서 묘사되고 구현되는 방식을 보일 것이다. 마지막으로, 사회경제적 변동에 대한 새로운 경험은 특정 물적 인공물의 사용을 통해 수행성을 갖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는 ‘존재의 양식 (modes of being)’의 변화를 가져온다는 것을 보이게 될 것이다. 본 논문은 사회기술적 상상력 (sociotechnological imaginaries)의 다층위적 실천에 관한 것이다. 특히 갈라파고스 케이타이 (가라케)의 사회기술적 상상은 이러한 테크노사이언스의 다층위적 문화실천을 보여주는 사례가 될 것이다. 지금까지 많은 학자들이 핸드폰의 사회문화적 영향에 대해서, 특히 일본사회를 대상으로 분석했다 (Gottlieb and McLelland, 2003; Ito, Okabe and Matsuda eds, 2005; Okada and Matsuda, 2002; Daliot-Bul, 2007). 일상생활에서 휴대전화가 빠르게 보급되면서 이 케이타이 (휴대전화)의 위상은 단순한 통신도구에서 행위자들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체화된 인공물 (embodied artifact)로 전환된다 (Daliot-Bul 2002; Fujimoto, 2005; Ito 2005). 일반소비자들의 기술문화적 실천행위는 TV드라마나 영화를 포함한 대중문화에 반영되어 나타난다. 기술물질적인 실천 (techno-material practice)와 문화적 실천 (cultural practice)를 연결해주는 상호교차점은 바로 일본사회가 어떻게 기술발전의 경로를 선택하는가를 보여주는 중요한 지점이 된다. 본 연구는 영화와 드라마에서 재현되는 휴대폰 사용방식에서 드러나는 일정한 패턴이 어떻게 정체성 형성과 연관되는가를 보일 것이다. 본 논문은 2010년에서 2017년 사이에 방영되거나 상영된 224편의 드라마 시리즈와 영화 (144편의 드라마 시리즈 및 80편 영화)를 조사했다. 연구자의 선택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편견을 제거하기 위해 영화와 드라마의 선택은 무작위로 이루어졌다. 이 연구의 중요한 목적은 드라마와 영화에서 나타나는 핸드폰 사용의 특별한 방식과 등장인물의 성격 사이에서 나타나는 상관성과 패턴을 찾아내는 것이다. 그 결과 핸드폰 사용에서 나타나는 핸드폰 형태의 선호도와 규범적 역할 사이에 강한 관계가 있음을 발견했다. 결국 특히 가라케의 사용은 일종이 문화적 실천이며 정체성을 보여주는 방식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문화적 실천과 기술의 관계는 사회기술적 상상력과 사회문화 시스템 사이의 공동구성적 과정 (co-constructive process)의 좋은 사례가 된다.
URI
https://oasis.postech.ac.kr/handle/2014.oak/102000
Article Type
Conference
Citation
테크노컬처와 융합연구, page. 1 - 26, 2019-05-24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김기흥KIM, KIHEUNG
Div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Read more

Views & Downloads

Browse